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LLM 넘어 LAM … 한국 제조업 진정한 '무인화 시대' 연다

by 나는야석사 2024. 7. 26.

헤드라인

LLM 넘어 LAM … 한국 제조업 진정한 '무인화 시대' 연다
 
매경이코노미 창간 45주년 '돈버는 AI'콘퍼런스
문답형 대규모언어모델보다
로봇에 인공지능 결합하는
대규모행동모델에 투자 시급
전세계 AI 전환 경쟁 본격화
박상욱 "인공지능위 곧 출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40650

본문

◆ 매경이코노미 포럼 ◆

25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매경이코노미 창간 45주년 콘퍼런스가 '돈 버는 AI'를 주제로 열렸다.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을 비롯해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정태영 현대카드·커머셜 부회장,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정·재·관계 인사 300여 명이 참석했다. 윤관식 기자


"이제는 챗GPT같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넘어 대규모행동모델(LAM)에 집중해야 합니다."

 

매경이코노미가 25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AGI  버는AI'라는 주제로 창간 45주년 콘퍼런스(포티투마루 공동 주최)를 열고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AI)이 현실 속 경제와 산업에서 갖는 의미를 집중 조명했다.

 

최근 재계에서 화두로 떠오른 키워드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인 'AX'다. 단순 디지털전환(DX)을 넘어 경영 전반에 AI를 도입해 비용 절감과 생산성 극대화를 꾀하는 움직임이다. AI는 콘텐츠·커머스·금융·제조 등 기존 전통 산업에 속속 침투하며 실제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배우와 실사 촬영이 없는 영화가 나오고 AI가 관리하는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선 이미 AX 속도전이 한창이다. 각국 정부 간 투자 경쟁도 치열하다. AI주권 보호, 이른바 '소버린 AI'를 목표로 기업 AX를 지원할 보조금 정책을 연달아 내놓고 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일본 정부는 소프트뱅크의 AI 사업에 수천억 원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고, 캐나다 정부도 AI 산업 육성에 2조원 이상 지원하는 방안을 내놨다"고 말했다.

 

한국 기업과 정부도 적극 대응에 나섰다. 삼성, SK, LG등 재계 총수의 해외 출장길에 빠지지 않는 곳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다. 주요 빅테크와 AI 기업이 몰려 있는 지역이다. 최신 AI 동향을 파악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 AX를 앞당겨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리처드 장 스트랫마인즈 대표는 "어떤 기업도 AX 없이 다음 단계를 논하거나 혁신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AI가 이미 'LAM(Large Action Model)'으로 넘어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LAM은 챗GPT같이 언어를 기반으로 한 LLM(Large Language Model)을 넘어 물리적인 실제 세상에서 작동하는 AI를 말한다. 예를 들어 로봇에 AI를 접목하는 방식이다. AI가 내놓는 결괏값이 언어(Language)에서 행동(Action)으로 진화한다는 뜻이다. 사람 명령 없이 현실 데이터를 직접 학습하기도 한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로봇 등 기계에 AI가 접목되면 디지털에서 현실까지 AI 세계가 확장된다"며 "글이나 사진, 영상 같은 디지털 파일이 아닌 현실에서 일을 해주는 
AI가 출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에게 지시하듯 말로 업무를 내리면 이를 로봇이 그대로 처리해주는 세상이 곧 온다"고 강조했다.


제조업에서 강점을 갖는 한국이야말로 특히 LAM개발과 투자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현재 제조업 강국 지위를 잃고 시장에서 아예 도태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왔다. AI 로봇·공장은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기존 인프라스트럭처와 비교가 안될 정도로 앞선다. 예를 들어 베테랑 엔지니어 50명이 1년에 걸쳐 설계하는 LNG선을 AI는 한 달도 안 돼 만들어낸다. 문제는 미국·중국 같은 국가에 비해 한국은 AI 기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LAM시대가 오면 인류는 처음으로 진정한 의미의 '무인화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며 "AI가 도입되지 않은 하드웨어만 고집한다면 제조업 시장에서 한순간에 도태될 수 있기 때문에 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업뿐 아니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도 중요하다. 저작권 침해, 기술 유출 등을 이유로 미국과 유럽에서 본격화된 AI 규제 논의가 국내로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AI 업계와 학계는 "섣부른 규제는 국내 AI 산업 생태계를 고사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AI 후발 주자인 한국 기업의 경쟁력만 잃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재붕 성균관대 부총장은 "한국은 추격에 익숙하고 규제를 뚫고 선도하는 것은 익숙하지 않다. AI 혁신도 마찬가지"라며 "정부가 앞장서 이런 분위기를 깨고 AI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국이 제조업 등에서 주도권을 계속 가져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우리 정부는 AI 전환을 통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조만간 AI 투자 전략, 생태계 조성, AI 안전과 안보 등 AI 정책 전반을 다루는 최상위 거버넌스로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국가 인공지능위원회도 출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어 정리>

   AGI(Aritificial Generic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으로, Human-level AI라고도 불림. 인간과 비슷한 학습 능력 및 추론 능력을 가진 기계이지만 기억 능력은 인간보다 좋다.

   재계 : 대자본을 지닌 실업가나 금융업자의 활동 분야

   AI 트랜스포메이션(AX) : 디지털 전환(DX)를 넘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기업의 변화를 추구하는 개념.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전체의 조직, 문화, 전략에 AI를 통합해 혁신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함.

   디지털 전환(DX) : 디지털 기술을 사회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IoT, 클라우드 컴퓨팅, 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ICT(정보통신기술)을 플랫폼으로 구축, 활용하여 기존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1. LAM은 챗GPT같이 언어를 기반으로 한 LLM(Large Language Model)을 넘어 물리적인 실제 세상에서 작동하는 AI를 말한다.

2. AI가 내놓는 결괏값이 언어(Language)에서 행동(Action)으로 진화한다는 뜻이다. 사람 명령 없이 현실 데이터를 직접 학습하기도 한다.

3.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로봇 등 기계에 AI가 접목되면 디지털에서 현실까지 AI 세계가 확장된다"며 "글이나 사진, 영상 같은 디지털 파일이 아닌 현실에서 일을 해주는 AI가 출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에게 지시하듯 말로 업무를 내리면 이를 로봇이 그대로 처리해주는 세상이 곧 온다"고 강조했다.

4. 제조업에서 강점을 갖는 한국이야말로 특히 LAM개발과 투자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현재 제조업 강국 지위를 잃고 시장에서 아예 도태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왔다. AI 로봇·공장은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기존 인프라스트럭처와 비교가 안될 정도로 앞선다. 예를 들어 베테랑 엔지니어 50명이 1년에 걸쳐 설계하는 LNG선을 AI는 한 달도 안 돼 만들어낸다. 문제는 미국·중국 같은 국가에 비해 한국은 AI 기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5. "LAM시대가 오면 인류는 처음으로 진정한 의미의 '무인화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며 "AI가 도입되지 않은 하드웨어만 고집한다면 제조업 시장에서 한순간에 도태될 수 있기 때문에 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LAM(Large Action Model)

a.   사용자 행동 패턴을 학습해 웹과 앱을 직접 작동시킬 수 있는 AI이다.

b.   LLM이 문장, 그림, 비디오 등을 생성하는 데에 특화돼 있다면, LAM은 언어적 유창성과 독립적 작업 수행 능력을 결합해 단순히 무언가를 생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작업을 수행하며 인간을 대신해 줄 에이전트이다.

c.   사용자의 앱 사용 패턴을 AI가 학습한다.

d.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택시를 부른다면 앱을 열어 위치 입력, 차량 확인, 기사 호출 등 수많은 클릭을 해야 하지만 LAM은 음성만으로 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e.   2024 CES에서 나온 래빗 R1이라는 기계로 가능하다.

f.   음성인식만으로 앱을 제어할 수 있고 전용 트레이닝 모드로 각종 앱을 직접 훈련시킬 수 있다.

g.   ACT-1은 디지털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된 대규모 트랜스포머 LAM이다.

h.   가격대, 지역, 방 개수 등을 입력하지 않고 음성으로 원하는 조건에 맞는 집을 찾아 부동산 사이트를 작동할 수 있고 스프레드시트를 작동시켜 가게 별 영업 마진을 보여달라고 할 수 있다.

i.   크롬에 연결돼 있으며 위젯 형태의 챗봇으로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것을 입력하면 알아서 나머지를 처리함.

j.   LLM과 LAM이 결합될 경우 인간의 행동을 대신 할 AI 에이전트가 탄생할 수 있음. 예시로 LLM이 카피 작성, 이미지 생성, 웹 레이아웃 생성 등의 역할을 하면, LAM은 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음성이나 문자 입력만으로 AI가 마케팅 자료, 고객 데이터, LLM 등에 접근해 이를 다루는 게 가능해진다.

LAM의 특징

a.   고급 데이터 처리 : LAM은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다 광범위한 데이터 해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효과적이다.

b.   효율적 의사 결정 : LAM은 정교한 알고리즘을 통해 의사 결정 과정을 자동화한다. AI 시스템이 더 복잡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c.   확장성과 유연성 : 간단한 자동화부터 복잡한 문제 해결까지 다양한 앱에 적용할 수 있다.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다.

LAM을 챗봇에 접목하면

a.   현재 자동차 판매 사이트에 부착된 AI 챗봇은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질문에 답변한다. LAM을 결합한 챗봇은 소비자가 원하는 차량을 판별해 예약 주문까지 수행한다. -> 개인화가 가능해진다.

b.   사용자의 인터넷 활용 패턴을 학습해 일상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c.   LLM이 은행 대출 초안 작성 > LAM이 은행에 대출 서류 발송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Human Computer Interface)

a.   사람의 음성, 뇌파, 근육, 동작 등을 기계가 인식하는 것이다.

b.   LAM의 등장으로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 영역이 바뀔 것임

c.   지금까지는 GUI로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했는데 LAM은 시간을 들여 학습을 해야하니 오히려 구식으로 느껴질 수 있다.

d.   AI 에이전트의 서막이다.

 

요약

디지털전환(DX)를 넘어 AI 트랜스포메이션(AX)가 화두이다. 이는 경영 전반에 AI를 도입해 비용 절감, 생산성 극대화를 하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에선 이미 AX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LLM을 이을 LAM이 등장했다. LAM은 LLM을 기반으로 한 것이며, 로봇 등의 기계에 접목하여 물리적 작업을 실행하는 등의 실제 세상에서 작동하는 AI를 말한다. AI가 내놓는 결괏값이 언어에서 행동으로 진화한다.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내역을 학습하여 원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해준다. AI가 도입되지 않은 하드웨어만 고집한다면 제조업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업이 발달한 한국에서는 LAM이 굉장히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현직자에게 할 질문

LAM을 개발할 때 쓰여진 기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I에 관한 보안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활동 내역을 통해 학습을 하는 것에 대한 보안은 어떤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느 딥러닝 네트워크로 짜여졌는지 궁금합니다.

학습 시 어떤 데이터세트를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LAM 개발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연관기사 링크

https://blog.naver.com/gc_na/223351316186

 

인공지능 반도체와, OpenAI의 목표, AGI란?

OpenAI는 Chat GPT를 연구개발한 회사의 이름입니다. OpenAI의 대표로 샘 올트먼(Sam Altman)...

blog.naver.com

 

https://www.clunix.com/insight/it_trends.php?boardid=ittrend&mode=view&idx=770

 

클루닉스

클루닉스는 모든 산업에서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선도적인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www.clunix.c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96818&cid=42346&categoryId=42346

 

디지털 전환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

terms.naver.com

 

https://www.lgcns.com/blog/it-trend/52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