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스크랩

경제신문스크랩 > 한국경제 > 인공지능이 딱 맞는 사이즈 추천…핏테크로 'e커머스 난제' 풀었다

by 나는야석사 2024. 8. 6.

헤드라인

인공지능이 딱 맞는 사이즈 추천…핏테크로 'e커머스 난제' 풀었다
 
펄핏, 증강현실로 신발 착용
에이블리도 가상 피팅 서비스

사이즈 불만 따른 반품률 높아
e커머스, 핏테크에 적극 투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18306

본문

인공지능(AI) 기술로 옷이나 신발 사이즈를 추천하는 ‘핏테크(FIT+테크)’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카메라로 신체를 촬영한 뒤 데이터값을 토대로 상품을 제안하는 것이 핏테크 비즈니스의 핵심이다.

 

사진 한 장으로 가상 피팅

사이즈 추천 솔루션 스타트업 펄핏은 5일 증강현실(AR) 가상착화 기능을 새롭게 출시했다. 먼저 고객이 스마트폰 카메라로 발을 인식한다. 원하는 신발 상품을 발에 적용하면 3차원(3D) 모델링을 통해 신발을 가상으로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앱 필요 없이 웹으로도 가능하다. 펄핏은 ABC마트, 코오롱몰, 프로스펙스 등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가 발전하면서 사이즈 추천 기술도 빠르게 고도화하고 있다. 펄핏은 AR서비스를 위해 가상 피팅 스타트업인 딥픽셀과 협업했다. 딥픽셀은 MCM, 수프라 등에 패션 제품 가상 피팅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다. 컴퓨터비전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신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기술 발전으로 가상 피팅 정확도가 실제 착용하는 수준에 가깝게 높아졌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AI 자동 실측 서비스 핏파인더를 개발한 예스나우, 전신사진 한 장으로 신체 부피를 측정하는 기술을 보유한 아이미마인 등도 대표적인 사이즈 솔루션 기업으로 꼽힌다. 핏파인더는 한섬과 블랙야크, 위비스 등 패션 기업들이 주로 쓰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의 재이용률은 60%가 넘는다.

 

패션 반품 사유 절반이 사이즈

사이즈 불만에 따른 교환·반품 이슈는 e커머스업계가 해결해야 할 숙원 과제로 꼽혀왔다. 이마케터에 따르면 e커머스 평균 반품률은 20%다. 기존 오프라인 매장 반품률 8~10%보다 두 배가량 높다. 패션의류 카테고리의 반품 사유 54%가 사이즈 때문이다. 그래서 일단 여러 사이즈를 주문하고 나머지를 반품하는 사람도 있다. 2022년 기준 글로벌 커머스 시장 반품 규모는 8160억달러(약 1118조원)에 달한다.

e커머스업계가 사이즈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공을 들이는 이유다.
 SK스토아가 지난 5월 홈쇼핑 최초로 AI 사이즈 제안 서비스 사이즈톡을 도입한 것이 대표적이다. 에이블리는 상품을 온라인에서 가상으로 착용하는 AI 프로필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펄핏이 고객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AI 추천 서비스는 반품률을 55% 낮췄다.

사이즈 추천 기술은 육아용품, 반려동물 시장에도 적용되고 있다. 유한킴벌리는
 AI 피팅룸 서비스를 제공한다. 맘큐 앱에서 아기 키, 몸무게 등을 입력하고 기저귀를 착용한 모습을 촬영해 올리면 AI가 자동으로 기저귀 사이즈를 추천해준다. 강아지 옷 쇼핑 플랫폼 도글리는 사진 기반 AI 사이즈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주인이 반려견의 사이즈 정보를 한 번 등록하면 상품별로 적합한 사이즈의 옷을 자동 제안한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1. 카메라로 신체를 촬영한 뒤 데이터값을 토대로 상품을 제안하는 것이 핏테크 비즈니스의 핵심

2. 먼저 고객이 스마트폰 카메라로 발을 인식한다. 원하는 신발 상품을 발에 적용하면 3차원(3D) 모델링을 통해 신발을 가상으로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3. 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4. 핏파인더는 한섬과 블랙야크, 위비스 등 패션 기업들이 주로 쓰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의 재이용률은 60%가 넘는다.

5. 이마케터에 따르면 e커머스 평균 반품률은 20%다. 기존 오프라인 매장 반품률 8~10%보다 두 배가량 높다. 패션의류 카테고리의 반품 사유 54%가 사이즈 때문이다.

6. 2022년 기준 글로벌 커머스 시장 반품 규모는 8160억달러(약 1118조원)에 달한다.

7. 펄핏이 고객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AI 추천 서비스는 반품률을 55% 낮췄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증강현실

a.   현재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이나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환경을 덧입혀서,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 주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로 조성된 현실

 

SaaS(Software as a Service)

a.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한 종류로,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 모델을 말한다.

b.   고객이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나 서버에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c.   서버 구성, 보안 및 업그레이드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SaaS 제공 업체가 책임지며 고객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고 필요한 만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d.   클라우드 컴퓨팅의 일종으로, 비용 효율성, 쉬운 액세스, 확장성, 유지 보수 및 업그레이드 책임의 감소, 최신 기술의 이용 등의 장점을 가진다.

e.   네트워크의 영향을 많이 받아 로컬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보다 일반적으로 느리고 SaaS 제공 업체가 데이터를 호스팅 하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므로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인 요구사항에 맞춰져 있어 해당 플랫폼 또는 브라우저에 대한 종속성이 있을 수 있다.

요약

AI 기술로 옷, 신발 사이즈를 추천하는 핏테크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카메라로 신체를 촬영한 뒤 데이터 값을 토대로 상품을 제안하는 방법이다. 펄핏이라는 스타트업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발을 인식하면 3D 모델링을 통해 원하는 신발 상품을 가상으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준다. 다양한 기업에 SaaS 형태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사이즈 추천 기술도 고도화하고 있는데, 펄핏과 협업한 딥픽셀이 컴퓨터비전과 딥러닝을 통해 신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술을 사용해 가상 피팅 기술을 제공한다. 2022년 기준 글로벌 커머스 시장 반품 규모는 약 1118조원이며 SK스토아, 에이블리 등에서 핏테크를 사용하고 있다. 펄핏의 고객사 데이터 분석 결과 반품률을 55% 낮췄다. 또한 육아용품과 반려동물 시장에도 핏테크가 적용되고 있다.

현직자에게 할 질문

신체를 실시간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할 때 어떤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는지 궁금합니다.

학습을 통해 발의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여 사이즈를 추천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어떤 학습 방법이 사용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전신을 찍었을 때도 신발이 정확히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신발이 아닌 옷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잘 작동하는지 궁금합니다.

연관기사 링크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60c80dccc5d443a8258987f2c257cd7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https://www.samsungsds.com/kr/cloud-glossary/saas.html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무엇일까요? | 클라우드 용어집 | 삼성SDS

SaaS란, Software as a Service(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의 약자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한 종류입니다. SaaS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 모델을 말합니다. SaaS 모델에서는 고객이 소프트웨어를 자신

www.samsungs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