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모두가 전기차 어렵다며 말릴 때 …"독자기술로 돌파" 혁신 물꼬 현대차 1억대 질주 ② 정의선 결단의 리더십현대차 R&D조직 직접 설득발빠른 전동화 전략 결실세계 '올해의 車' 잇단 수상경쟁사들 전기차 투자 미뤄도美공장 가동 앞당겨 10월 양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39437 |
본문
◆ 현대차 1억대 질주 ◆
"우리는 전기차로 넘어가야 합니다. 충분히 승산이 있습니다."
전동화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목소리는 차분하면서도 단호했다. 그는 리튬·니켈 등 핵심 광물 가격 안정화, 보조금 정책이 종료되는 시점의 경쟁 구도, 수요 정체기 이후의 전기차 대중화 등 동원 가능한 모든 숫자와 시나리오를 언급하며 좌중을 설득했다. 8년 전 열린 임원 회의 자리에서였다.
당시 회의에 배석했던 한 임원은 "당시까지만 해도 전기차는 수익성이 없는 '시기상조 사업'으로 여겨졌다"며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했다는 점도 전기차 회의론의 근거로 통했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연구개발(R&D) 거점인 남양연구소 엔지니어조차 전기차는 주행거리가 짧아 단기간에 내연기관차를 대체하는 이동수단이 되기 어렵다고 봤다.
태동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신생 기업인 테슬라가 치고 나가는 모습을 정 회장은 예의 주시했다. 이전까지 로드스터, 모델S, 모델X 등 고가 전기차를 팔았던 테슬라는 2016년 들어 보급형 차종인 모델3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당시 현대차그룹의 최신 전기차였던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91㎞에 그친 반면 테슬라 모델3는 360㎞ 이상을 기록했다. 변화를 서두르지 않는다면 현대차그룹은 '추격자(fastfollower)' 신세에 머물러야 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기아 R&D사령탑을 맡고 있던 양웅철 전 부회장을 찾았다. 남양연구소에 전기차 산업의 미래를 집중 조사하는 별도 조직이 꾸려졌다. 결론은 명확했다. '현대차그룹 독자 기술로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정 회장의 설득은 결국 현대차·기아 국내 R&D인력 1만2000여 명을 움직였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무서운 속도로 전동화를 추진했다.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짜여 있던 R&D조직이 전동화 중심 체제로 전환됐다. 기존 내연기관 모델에 모터, 배터리를 집어넣은 개량형 전기차 대신, 전용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차 신모델 개발을 가속화했다. 2019년에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이런 배경에서 탄생했다.
현대차그룹의 발 빠른 전동화 전략은 결실을 맺고 있다. 최근 3년간 열린 글로벌 3대 '올해의 차' 시상에서 현대차그룹은 총 30개 상 가운데 13개를 수상하며 완성차 그룹 기준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도요타가 3개를 수상하는 데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현대차그룹이 수상한 13개 차종 모두 전기차 였다. 전기차 분야에서 시장 선도자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면서 현대차·기아를 바라보는 소비자들의 기대치도 높아지고 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쌓아 올린 '품질 경영'의 토대 위에서 정 회장은 현대차·기아의 위상을 '선도자(firstmover)'로 격상시켰다.
양 전 부회장은 "정 회장은 현대차의 기술력을 믿었다. 자동차 산업에 혁신의 바람이 불 때, 정 회장에게는 우리가 앞으로 밀고 나가도 된다는 자신감이 있었다"며 "그 결과 전동화라는 마라톤에서 현대차그룹은 후발주자들이 따라잡기 버거울 만큼 앞서고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하루에도 8개 안팎의 미팅을 잡으며 각계각층 인사를 만나는 총수로도 유명하다. 그는 다방면으로 이해도가 높으면서 자기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T자형' 경영인을 추구한다. 자동차 산업이 더 이상 완성차라는 한정된 영역에 머물지 않고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해 예술, 건축, 로보틱스 등 다양한 업종과 융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이야기를 듣고 소화해내는 정 회장의 판단과 결정에 더욱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정 회장은 필요할 때 각 계열사 사장뿐만 아니라 전무, 상무 등 실무급 임원들과도 이메일로 편히 일대일 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현대차 고위 임원은 "정 회장은 해외 공장에 출장을 올 때면 주재원들의 가족까지 초청해 식사를 대접할 정도로 소탈하고 격의 없는 오너"라면서 "일 외적인 부분에서 불필요한 의전이나 비효율을 지양하는 실무형 경영인"이라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1. 현대차·기아 연구개발(R&D) 거점인 남양연구소 엔지니어조차 전기차는 주행거리가 짧아 단기간에 내연기관차를 대체하는 이동수단이 되기 어렵다고 봤다.
2. 당시 현대차그룹의 최신 전기차였던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91㎞에 그친 반면 테슬라 모델3는 360㎞ 이상을 기록했다.
3. 정 회장의 설득은 결국 현대차·기아 국내 R&D인력 1만2000여 명을 움직였다.
4.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짜여 있던 R&D조직이 전동화 중심 체제로 전환됐다. 기존 내연기관 모델에 모터, 배터리를 집어넣은 개량형 전기차 대신, 전용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차 신모델 개발을 가속화했다. 2019년에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이런 배경에서 탄생했다.
5. 현대차그룹의 발 빠른 전동화 전략은 결실을 맺고 있다. 최근 3년간 열린 글로벌 3대 '올해의 차' 시상에서 현대차그룹은 총 30개 상 가운데 13개를 수상하며 완성차 그룹 기준 1위를 차지했다.
6. 현대차그룹이 수상한 13개 차종 모두 전기차 였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현대 아이오닉 일렉트릭의 현재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는 271km이다.
현대 아이오닉 5는 1회 충전시 411~485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현대 아이오닉 6는 1회 충전 시 367~524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테슬라 모델 3는 1회 충전 시 382~488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테슬라 모델 S는 1회 충전 시 474~555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테슬라 모델 X는 1회 충전 시 439~478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용어정리>
역설 : 어떤 주의나 주장에 반대되는 말
태동 : 어떤 일이 생기려는 기운이 싹틈
내연기관차 : 내연기관에는 가솔린, 디젤, 가스터빈, 제트기관 등이 있다.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종류에 따라 가솔린기관차와 디젤기관차로 분류한다.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 현대차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으로, 배터리, 모터 등 동력장치와 충격흡수장치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내연기관 플랫폼과 달리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고 엔진과 변속기, 연료탱크 등이 차지하던 공간이 사라져 실내 공간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
요약
현대자동차 그룹의 정회장이 8년 전부터 전기차의 중요성을 알고 현대차, 기아 R&D 인력 1만2000여명을 격려하였다. 그 결과 현대차그룹은 전동화를 추진했으며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짜여져 있던 R&D 조직이 전동화 중심 체제로 전환됐다. 이를 통해 2019년 E-GMP라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개발됐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3년간 열린 글로벌 3대 올해의 차 시상에서 총 30개 상 가운데 13개를 수상했고 올해 10월부터 미국 조지아의 전기차 공장에서 차량 양산을 시작한다.
현직자에게 할 질문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추진으로 인해 국내 배터리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합니다.
현대차 그룹의 전기차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비결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E-GMP 플랫폼이 기존 플랫폼 대비 갖는 가장 큰 기술적 장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미국 전기차 공장의 양산으로 인해 미국 전기 자동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궁금합니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KT, 개인맞춤 비서로 AI 서비스 속도 낸다 (0) | 2024.07.25 |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1년뒤 허리케인도 예측 … AI 기상예보 뜬다 (4) | 2024.07.24 |
경제신문스크랩 > 한국경제 > 엔비디아 中 전용칩 개발 대중수출 규제 우회 시도 (2) | 2024.07.23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iR52 장영실상] 딥러닝으로 자동 판독 … 반도체 결함 99% 잡아내 (1) | 2024.07.22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다음 차례는 AI시대 전력 받쳐줄 SMR"… K원전 부활의 노래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