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경남, AI가 복지사각지대 신속하게 찾는다 13개 시·군에 초기상담시스템 위기정보 분석해 맞춤 서비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20847 |
본문
경상남도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상담 로봇을 도입한다.12일 경상남도는 AI 기반 복지 사각지대 초기상담 시스템을 연말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창원시를 포함한 도내 13개 시·군이 참여한다. 전국적으로 101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AI 초기상담 시스템은 단전, 단수, 장기 체납 등 45종의 위기 정보를 분석해 잠재적 위기 가구를 자동으로 식별한다. 시스템이 위기 의심 가구에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해당 가구에 전화를 걸면 AI가 본인 확인 후 위기 상황을 파악한다. 상담 결과는 읍·면·동 담당자에게 자동 전달되며, 이를 바탕으로 담당 공무원이 심층 상담을 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경상남도는 올해 말까지 AI 초기상담 시스템을 18개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돌봄시스템, 고독사 예방을 위한 반려로봇 등 AI기반 복지사업도 지속해서 확대할 방침이다. 도는 지난해 위기발굴 시스템과 경남형 위기가구 찾기 사업을 통해 약 9만8000개 위기 가구를 찾아냈다. 올해는 특화사업으로 ‘행복지킴이단’을 출범해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신종우 경상남도 복지여성국장은 “행정인력 부족으로 위기가구 발굴에 대한 충분한 대응이 어려웠다”며 “AI 초기상담 시스템이 위기가구 발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1. 이번 시범사업에는 창원시를 포함한 도내 13개 시·군이 참여한다. 전국적으로 101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2. AI 초기상담 시스템은 단전, 단수, 장기 체납 등 45종의 위기 정보를 분석해 잠재적 위기 가구를 자동으로 식별한다.
3. 경상남도는 올해 말까지 AI 초기상담 시스템을 18개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AI 초기상담
a. 위기정보 입수 1인 가구 및 소재미확인 대상자 등 6000여 가구에 문자 발송과 함께 사전 안내를 진행한 후 대화형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동전화시스템
b. 본인확인과 위기사황 파악, 욕구상황 파악, 심층상담 여부 확인 등에 상담을 진행하는 사업이다.
요약
경상남도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상담 로봇을 도입한다. 연말까지 시범 운영하며 전국적으로 101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AI 초기상담 시스템은 단전, 단수, 장기 체납 등 45종의 위기 정보를 분석해 잠재적 위기 가구를 자동으로 식별한다. 시스템이 위기 의심 가구에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해당 가구에 전화를 걸면 AI가 본인 확인 후 위기 상황을 파악한다. 이 결과는 읍/면/동 담당자에게 자동 전달되며 이를 바탕으로 담당 공무원이 심층 상담을 통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올해 말까지 이 시스템을 18개 전 시/군으로 확대활 계획이며 IoT 돌봄시스템, 반려로봇 등의 AI 기반 복지사업도 확대발 예정이다. 지난해 위기발굴 시스템과 경남형 위기가구 찾기 사업을 통해 약 9만8000개 위기 가구를 찾아냈다.
현직자에게 할 질문
실질적인 위기 가구를 찾아내는데 유용한지 궁금합니다.
위기가구라는 평가를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개인정보에 대한 문제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연관기사 링크
http://www.ikbc.net/front/news/view.do?articleId=ARTICLE_00052502
[중앙통신뉴스] 광주 서구, AI 활용 복지사각지대 초기상담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중앙통신뉴스】김이강 서구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위기 의심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범위를 확대하면서도 대상자에 대한 심층 상담에 집중하겠다”며 “앞으로도 복지서비스 업무
www.ikbc.net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보름 걸린 타이어설계, AI로 하루면 끝 (1) | 2024.08.19 |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730평 도금공정 라인에 단 두사람…부품마다 다른 열처리, DX로 관리 (0) | 2024.08.12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6시간 이내 날씨, AI로 정확히 집어낼것" (0) | 2024.08.11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구광모의 혁신…LG AI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2) | 2024.08.08 |
경제신문스크랩 > 매일경제 > 패닉셀 범인은 더 진화한 AI? (0) | 2024.08.07 |